정욕 원어 롬 6:12

로마서 6장 12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죄로 너희 죽을 몸에 왕 노릇 하지 못하게 하여, 몸의 사욕(정욕)에 순종하지 말고” (개역개정)

여기서 “정욕”으로 번역된 단어는 헬라어 **”ἐπιθυμία” (epithymia)**입니다.


1. 원어 분석 – ἐπιθυμία (epithymia)

  • 어근: ἐπι (epi, 위에) + θυμία (thymia, 욕망 또는 마음)
  • : 강한 욕망, 갈망, 특히 육체적/감정적 욕구를 의미함
  • 성경적 사용: 긍정적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 부정적, 즉 죄된 본성에서 나오는 욕구를 지칭함
    • 예: 음욕, 탐심, 자기중심적 욕망 등

2. 문맥적 의미 (롬 6:12)

바울은 여기서 “정욕”을 죄가 인간의 죽을 몸을 통하여 통치하려는 수단으로 언급합니다.
즉, “ἐπιθυμία”는 죄가 육체를 통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도구로 기능합니다.
따라서 이는 단순한 욕망이 아니라, 죄의 통치를 뒷받침하는 타락한 욕구들을 말합니다.


3. 신학적 함의

  • “ἐπιθυμία”는 구속받지 않은 인간의 본성 안에 자리한 강한 자기중심적 욕망을 나타냅니다.
  • 바울은 이 정욕에 **”순종하지 말라”**고 명령함으로써, **그리스도인의 실천적 성화(holy living)**를 강조합니다.
  •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더 이상 “정욕의 노예”가 아니므로, 정욕을 지배할 수 있는 자유와 은혜를 받았다는 것이 본문 흐름의 핵심입니다.

필요하시면 다른 절들과 비교한 “ἐπιθυμία”의 사용도 정리해드릴 수 있어요.

Leave a Comment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