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치다 – 롬 6:13

좋습니다. 로마서 6장 13절에서 “바치다”로 번역된 동사는 헬라어 **”παριστάνω” (paristánō)**입니다. 아래에 원어 분석과 신학적 의미를 신학박사 수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본문 (로마서 6:13, 개역개정)

“또한 너희 지체를 불의의 무기로 죄에게 바치지 말고, 오직 너희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자 같이 하나님께 바치며, 너희 지체를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바치라.”


2. 원어 확인 및 분석

  • 헬라어 원문 (중요 동사 강조): μηδὲ παριστάνετε τὰ μέλη ὑμῶν ὅπλα ἀδικίας τῇ ἁμαρτίᾳ, ἀλλὰ παραστήσατε ἑαυτοὺς τῷ θεῷ…
  • “바치다”παριστάνω (paristánō)
    현재형: παριστάνετε (2인칭 복수, 현재 능동 직설형)
    과거형/권면형: παραστήσατε (2인칭 복수, 부정과거 능동 명령형)

어근 의미:

  • παρίστημι / παριστάνω는 **“옆에 두다, 제시하다, 헌신하다, 봉사하다”**라는 뜻.
  • **구약 헬라어(Septuagint)**와 신약에서는 주로 **“제물을 드리듯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다”**는 의미로 사용됨.
  • 로마서 12:1의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산 제물로 드리라” 할 때도 같은 단어 사용.

3. 신학적 의미

a. 예배적 언어 (sacrificial language)

  • 바울은 **“바치다(παριστάνω)”**라는 동사를 통해 구약의 제사 개념을 차용합니다.
    즉, 신자는 자기 몸과 삶을 하나님께 드리는 산 제사로 헌신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롬 12:1과 연결).

b. 두 주인 사이의 선택

  • 죄에게 바친다는 것은 죄를 **주인(master)**으로 섬긴다는 뜻입니다 (롬 6:16 참조).
  • 반대로 하나님께 바친다는 것은 그분의 **의의 도구(ὅπλα δικαιοσύνης)**로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 구조는 단순한 ‘행위의 문제’가 아니라, 정체성과 소속의 문제임을 드러냅니다.

c. 의지적 참여 강조

  • 현재형 παριστάνετε와 부정과거 명령형 παραστήσατε는 단순한 상태가 아니라 능동적이고 의지적인 헌신을 요구합니다.
  • 성화(sanctification)의 과정은 받아들이는 은혜이기도 하지만, 능동적으로 드리는 응답이기도 함을 바울은 분명히 합니다.

4. 요약


필요하시면 이 구절을 중심으로 바울 신학에서의 “몸(σῶμα)” 개념과 관련된 신학 흐름도 함께 설명드릴 수 있어요.

Leave a Comment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