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관만 쓰고 내게 나오라: 에스더 1장, 와스디 왕후 미스터리 파헤치기

성경 에스더서는 흥미로운 이야기와 극적인 반전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 시작을 알리는 아하수에로 왕과 와스디 왕후의 이야기는 오랫동안 많은 궁금증을 자아냈죠. 특히 에스더 1장 11절, 왕이 와스디 왕후에게 “왕관을 쓰고” 나오라고 명령하는 장면은 단순한 명령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정말 아하수에로 왕은 와스디에게 ‘왕관만’ 쓴 채, 즉 벌거벗은 몸으로 연회에 나타나라고 했던 걸까요? … Read more

아이를 불에 바친 신앙? 몰렉 숭배의 성경적·역사적 배경

몰락 제사

“자녀를 신에게 불태워 바쳤다고?”성경 속 몰렉 제사는 단순한 상징일까요, 아니면 실제 역사 속의 끔찍한 의식일까요? 고대 근동의 유적과 기록을 통해, 그 충격적인 진실을 함께 파헤쳐봅니다. 믿기 어려운 이야기, 그러나 꼭 알아야 할 이야기입니다. 🔥 몰렉의 불길: 고대 인신제사의 실체를 파헤치다 “너는 네 자녀를 몰렉에게 주어 불로 통과하게 하지 말라”– 레위기 18:21 몰렉(Molech)이라는 이름은 성경을 읽는 … Read more

몸 – 롬 6:13

좋습니다. 이제 로마서 6장 13절과 연결된 바울 신학의 ‘몸(σῶμα)’ 개념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이 개념은 단순히 육체를 의미하는 게 아니라, 신자 존재 전체를 가리키며 중요한 신학적 흐름을 이룹니다. 1. ‘몸(σῶμα, sōma)’의 바울적 의미 a. 물리적 육체 이상의 개념 로마서 12:1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산 제물로 드리라”도 이 흐름에 속함. 2. 몸의 신학적 위치 – 중립적 도구 … Read more

바치다 – 롬 6:13

좋습니다. 로마서 6장 13절에서 “바치다”로 번역된 동사는 헬라어 **”παριστάνω” (paristánō)**입니다. 아래에 원어 분석과 신학적 의미를 신학박사 수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본문 (로마서 6:13, 개역개정) “또한 너희 지체를 불의의 무기로 죄에게 바치지 말고, 오직 너희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자 같이 하나님께 바치며, 너희 지체를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바치라.” 2. 원어 확인 및 분석 어근 … Read more

연합 – 롬6:5

좋습니다. 로마서 6장 5절에서 “연합”으로 번역된 단어는 **헬라어 ‘σύμφυτος’ (symphytos)**입니다. 본 절과 이 단어의 신학적 함의를 신학박사 수준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본문 (로마서 6:5) – 개역개정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같이 연합한 자가 되었으면, 또한 그의 부활과 같이 연합한 자도 되리라.” 1. 원어 표현 및 구조 2. 신학적 의미 a. 단순한 협력이 아닌 생명적 결합 … Read more

정욕 원어 롬 6:12

로마서 6장 12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죄로 너희 죽을 몸에 왕 노릇 하지 못하게 하여, 몸의 사욕(정욕)에 순종하지 말고” (개역개정) 여기서 “정욕”으로 번역된 단어는 헬라어 **”ἐπιθυμία” (epithymia)**입니다. 1. 원어 분석 – ἐπιθυμία (epithymia) 2. 문맥적 의미 (롬 6:12) 바울은 여기서 “정욕”을 죄가 인간의 죽을 몸을 통하여 통치하려는 수단으로 언급합니다.즉, “ἐπιθυμία”는 죄가 육체를 통하여 영향력을 … Read more

성경 속 두 도시 이야기: 가인의 도시와 하나님의 도시

성경에서 도시는 인간의 문명과 공동체의 중심지이지만, 동시에 가인의 도시에서 시작된 폭력과 죄악의 무대로 그려지기도 합니다. 인간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도시를 건설하지만, 이는 오히려 악의 확산과 심화를 가져오는 결과를 낳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하나님의 도시, 예루살렘을 통해 새로운 희망을 제시합니다. 다윗의 성에서 예배의 중심지로 변화된 예루살렘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공동체를 통해 완성될 하늘의 시민권을 가진 새 예루살렘의 … Read more

성경에서 말하는 공의와 정의

아모스 5:24 “오직 공법을 물 같이, 정의를 마르지 않는 강 같이 흐르게 할지어다”라는 구절의 성경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구절에서 말하는 ‘공의'(공법)와 ‘정의’의 성경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의(미쉬파트, משפט) 정의(쩨다카, צדקה) 아모스 선지자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종교적 의식은 지키면서도 실제적인 공의와 정의는 무시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물 같이”, “마르지 않는 강 같이”라는 표현은 공의와 정의가 지속적이고 풍성하게 … Read more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