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음성 사용 콘텐츠, 유튜브 수익 창출에서 제외된다 – 정책 팩트
2025년 7월 15일부터 유튜브는 AI로 대량 생산된 저품질 영상과 인간의 개입이 거의 없는 반복적 콘텐츠에 대해 수익 창출을 원천 차단하는 정책을 시행합니다.
특히 AI 음성(텍스트-투-스피치)만으로 제작된 영상, 복제·재활용된 콘텐츠, 성의 없는 자동화 영상 등은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에서 퇴출될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실제 사람의 목소리가 담긴 원본 콘텐츠만 수익화 대상이 된다”고 공식화하며, 반복적·저품질 콘텐츠에 대한 집행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유튜브가 이런 결정을 내린 이유
- 플랫폼 신뢰와 광고주 보호:
AI 기반 ‘복붙’ 영상, 실질적 해설 없는 리액션, 단순 편집본 등 독창성과 진정성이 결여된 콘텐츠가 급증하며, 플랫폼의 신뢰와 광고 생태계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 진정성 있는 창작자 보호:
진짜 창작자의 수익 기회를 보장하고, 시청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서입니다. - AI 슬롭(AI Slop) 확산 방지:
의미 없는 저품질 AI 생성 콘텐츠가 대량 유통되며, 플랫폼 전체의 정보 가치와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현상을 억제하려는 목적이 큽니다147.

유튜브에 업데이트되는 콘텐츠 중 AI 생성 콘텐츠의 비중
- AI 생성 영상의 비중은 빠르게 증가 중입니다.
2023년 대비 2025년에는 2배 이상 늘었으며, 특히 ‘AI 슬롭’으로 분류되는 저품질 AI 영상이 전체 유튜브 영상의 약 8~12%를 차지한다는 추정도 있습니다1. - 정확한 글로벌 공식 비율은 공개되어 있지 않으나, 일부 연구 및 업계 분석에 따르면 AI 음성을 사용하는 콘텐츠가 전체 영상의 30~50%에 달할 수 있다는 추정도 있습니다.
- 예시: 중국 Bilibili 플랫폼의 분석에서는, 샘플링한 영상 중 약 48.3%가 AI 음성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한편, 글로벌 전문가들은 2025년 전체 온라인 콘텐츠의 90%가 생성형 AI에 의해 만들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실제로 유튜브, 소셜 미디어, 블로그 등에서 AI 생성 콘텐츠의 비중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56.

4. 구체적인 저품질 AI 생성 콘텐츠 사례와 이들의 수익
대표 사례
- AI 슬라이드쇼 영상:
무료 이미지와 AI 음성만으로 자동 생성된 슬라이드쇼.
→ ‘재사용 콘텐츠’로 분류되어 수익 창출 거부 및 채널 경고2. - AI 음성 더빙 콘텐츠:
GPT 등으로 작성한 대본에 ElevenLabs 등 합성 음성을 입힌 영상.
→ 콘텐츠ID 시스템에 의해 음성 유사성 판정, 영상 차단 및 수익 귀속2. - AI 스크립트 자동 게시:
AI가 자동으로 작성한 스크립트를 그대로 게시, 메타데이터 오류 및 표기 누락.
→ 수익화 제한, 메타데이터 수정 요구2.
이러한 콘텐츠는 사람의 해설, 변형, 맥락이 제거된 반복적·자동화된 영상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실제로 수익 창출이 거부되거나 채널 자체가 제재되는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5. 유튜브가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
유튜브가 2025년 기준으로 가장 선호하는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진정성 있는 리얼-리얼리티 콘텐츠:
일반인의 자연스러운 반응, 솔직한 일상, 대본 없는 인터뷰 등 ‘진짜 사람’의 이야기가 담긴 영상. - 숏폼(Short-form) 콘텐츠:
1분 미만의 임팩트 있는 짧은 영상, 빠른 정보 전달, 중독성 있는 편집. - 정보성·전문성 콘텐츠:
금융, 자기계발, 건강, 실생활 팁 등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는 영상. - 팬덤·커뮤니티 중심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구독자 간의 소통, 팬 참여형 영상, 커뮤니티 기반 콘텐츠. - 브랜디드·쇼핑 연계 콘텐츠:
제품 리뷰, 언박싱, 쇼핑 연계 등 브랜드와 직접 연결되는 영상.

유튜브는 **시청 시간, 클릭률, 사용자 참여도(좋아요, 댓글, 공유 등)**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창의성·진정성·정보성·커뮤니티성이 높은 오리지널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추천합니다.
반면, 반복적이고 자동화된 저품질 AI 생성 콘텐츠는 점점 더 배제되고 있습니다12.
결론:
2025년 유튜브는 AI 음성·생성 콘텐츠의 무분별한 확산에 강력한 제동을 걸고, 진정성·창의성·정보성이 담긴 오리지널 영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라면 AI 도구를 활용하더라도 반드시 인간적인 해설, 독창적 편집, 실질적 정보 전달 등 ‘사람의 손길’이 느껴지는 콘텐츠 제작이 필수입니다.
- https://www.newsspace.kr/news/article.html?no=7932
- https://procreateart.tistory.com/entry/ai4-%EC%9C%A0%ED%8A%9C%EB%B8%8C-%EC%A0%9C%EC%9E%AC-%EC%82%AC%EB%A1%80-%EB%B6%84%EC%84%9D
- https://www.brandbrief.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17
-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6017
- https://tilnote.io/pages/641838239e8b1d7a77f5f5d9
- https://the-see.tistory.com/219
- https://www.digitalfocus.news/news/articleView.html?idxno=12696
-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ai-search-2025-2/
YouTube 정책 업데이트
이 도움말에는 그간의 YouTube 정책 업데이트 내용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YouTube 크리에이터와 관련된 다른 업데이트는 크리에이터 업데이트를 확인하세요.
최신 업데이트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
- [2025년 7월] Google Ads의 민감한 카테고리 관련 업데이트: 2025년 7월 15일에 YouTube 스튜디오의 광고 카테고리에서 민감한 카테고리인 ‘피부 노출(이미지만)’이 삭제됩니다. 현재 이 설정을 사용 중인 경우 2025년 8월 15일부터는 기존 차단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습니다. ‘성에 대한 언급’과 같은 다른 카테고리를 사용하여 채널의 광고를 더 세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 [2025년 7월]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YPP) 수익 창출 정책 업데이트: YouTube는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YPP)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크리에이터에게 항상 ‘진정성 있는 자체 제작’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요구해 왔습니다. 2025년 7월 15일에 대량 제작된 콘텐츠 및 중복 콘텐츠를 보다 잘 식별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오늘날의 ‘허위’ 콘텐츠를 더 잘 반영하도록 정책이 업데이트됩니다.
YouTube의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출처: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0008196?hl=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