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 롬6:5

좋습니다. 로마서 6장 5절에서 “연합”으로 번역된 단어는 **헬라어 ‘σύμφυτος’ (symphytos)**입니다. 본 절과 이 단어의 신학적 함의를 신학박사 수준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본문 (로마서 6:5) – 개역개정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같이 연합한 자가 되었으면, 또한 그의 부활과 같이 연합한 자도 되리라.”


1. 원어 표현 및 구조

  • 헬라어: εἰ γὰρ σύμφυτοι γεγόναμεν τῷ ὁμοιώματι τοῦ θανάτου αὐτοῦ
    (“그의 죽으심의 형상에 우리가 함께 심겨진 자가 되었으면”)
  • ‘연합한 자’: σύμφυτος (sýmphytos)
    • 어근: σύν (함께) + φύω (자라다, 태어나다, 생기다)
    • 직역 의미: “함께 자라난, 함께 심겨진, 본질적으로 결합된”
    • 문법적 형태: 형용사로 사용되며 **“함께 동일한 생명의 구조를 공유한 상태”**를 가리킴

2. 신학적 의미

a. 단순한 협력이 아닌 생명적 결합

  • σύμφυτος는 단순히 “같이 있다”거나 “같은 팀이다”가 아니라, 뿌리로부터 함께 자라난 존재, 즉 생명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존재를 말합니다.
  • 따라서 이 연합은 형이상학적(union with Christ in being) 의미를 포함하며,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단순한 모범이나 외적 동참이 아닌, **실제적 참여(real participation)**임을 의미합니다.

b. 그리스도와의 ‘형상적’ 연합

  • 본문에서는 **”그의 죽으심의 형상에 연합되었다”(τῷ ὁμοιώματι τοῦ θανάτου αὐτοῦ)**라고 하여, 그리스도의 실제 사건과 **형상적 동일시(imaginative or representational identification)**를 말합니다.
  • 이것은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적으로 경험하고, 그분의 생명에 접붙임 받은 존재가 되었다는 신학적 진술입니다 (cf. 갈 2:20, 골 2:12).

c. 종말론적 연합의 보증

  • 바울은 죽음과의 연합이 일어난 이상, 부활과의 연합도 필연적이라고 선언합니다: “또한 그의 부활과 같은 연합도 되리라.”
  • 이 구조는 현재적 성화(sanctification)의 근거이자, 미래적 영화(glorification)의 약속입니다.

3. 적용적 함의

  • 그리스도인에게 ‘연합’은 신비적 개념이 아니라, 세례를 통해 실재적으로 경험되는 생명의 변화입니다.
  • ‘옛사람’이 죽고 새 생명이 시작되었다는 정체성이, 윤리적 삶과 공동체 속 실천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 이 연합은 단회적 사건이자 지속적 정체성으로서, 성령 안에서 매일 갱신됩니다.

필요하시면 “연합” 개념이 바울 서신 전반에 걸쳐 어떻게 확장되는지도 신학적 범주별로 정리해드릴 수 있어요.

Leave a Comment

인덱스